Surprise Me!

[뉴있저] 원·달러 환율 천장은 어디?...정부 환율 직접 개입할 수 없나? / YTN

2022-04-28 108 Dailymotion

원·달러 환율이 1,272.5원에 거래를 마치며 연고점을 경신했습니다. 지난 2020년 3월 19일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고치인데요. <br /> <br />원·달러 환율이 1250원을 넘어선 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, 2020년 코로나19 확산 초기 등 두 차례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13일엔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"정부는 필요하다면 늘 시장 안정조치를 할 준비가 돼 있다"는 구두 개입에 환율이 소폭 내렸지만, 오늘은, 같은 발언이 또 나왔지만 환율 상승세를 막기엔 부족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이례적인 기준금리 '빅스텝' 인상 전망에다, 러시아가 일부 유럽 국가에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해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오늘 일본이 경기부양을 위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하기로 하면서 엔화 가치가 떨어진 것도 달러 상승을 부추겼습니다. <br /> <br />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우리 수출제품의 가격이 낮아져 수출 증대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,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달러 대비 각국의 통화가치가 하락한 상태여서 수출가격 경쟁력도 타국에 비해 크게 높지 않은데요. <br /> <br />게다가 환율 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주는데 지금은 국제 원자잿값이 크게 오르고 있어서 우리에겐 득보다 실이 더 큰 상황이죠. <br /> <br />그렇다면 정부가 환율을 안정시킬 수는 없을까요? <br /> <br />정부는 크게 두 가지로 방법으로 외환 시장에 개입합니다. <br /> <br />앞서 홍 부총리의 발언과 같은 '구두개입'으로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안정시키거나, 정부나 중앙은행이 직접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팔거나 사는 '직접 개입'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 외환시장은 당국이 직접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'스무딩오퍼레이션', 그러니까 '미세조정'에도 나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미국의 제재를 받는 '환율 조작국'의 전 단계인 '환율 관찰대상국' 명단에 올라 있기 때문인데요. 게다가 미국이 외환시장 감시를 강화하는 추세라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은 힘든 게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정부도 뾰족한 묘수를 찾기 힘든 상황 속에, 금융 전문가들은 원·달러 환율이 최대 1,295원까지 상승세를 이어갈 거란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스가 있는 저녁, 윤보리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42820053474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